Loading...

학과소개

학과소개
학과소개2022-10-14T04:12:59+09:00

교육목표

진로 및 취업분야

세라믹연구소, 첨단세라믹회사, 디자인계열회사, 도자기업체, 타일업체, 예술가, 도자기 공방, 창업 등 다양한 진로가능.

학과연혁

  • 1990. 11. 공업재료공학과 설립

  • 1993. 09. 무기재료공학과로 명칭 변경

  • 1997. 10. 도자기기술학과로 명칭 변경

  • 2010. 03. 도자기기술학과 차문화전공 신설

  • 2017. 02. 세라믹아트공학과로 명칭 변경

교과목

1. 유약전공

교과목 설명
유약Ⅰ (Ceramic GlazeⅠ) 세라믹 재료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도자기유약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한 후 생유약 제조(광택유, 무광택유, 매트유, 말림유)시 기본원리를 터득하게 한다.
유약Ⅱ (Ceramic GlazeⅡ) 유약Ⅰ(유약 제조의 원리를 터득)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작품에 맞는 유약을 직접 설계하여 작품에 응용한다.
색유약 (Colored Glaze) 기본유약원료에 산화물 또는 안료를 첨가하여 컬러유약 철유약, 동유약을 제조 연구한다.
결정유약 (Crystallization Glaze) 결정유약을 제조할 수 있도록 결정 구조를 이해하고 연구한다.
유약개발 (Development of Glaze) 자기만의 개성 있는 유약을 만들 수 있도록 재료를 선택, 제조, 구입하여 유약을 제조한다.
유약세미나 (Seminar of Glaze) 유약에 관한 논문이나 문헌을 통해 유약을 연구 및 발표, 토의함으로서 학위논문에 필요한 발표력 전개방식 등을 지도한다.

2. 소지전공

교과목 설명
소지Ⅰ (Ceramic Body Ⅰ) 도자기 소지의 이해와 사용목적에 따라 소지가 가져야 할 특성과 조합에 관한 지식을 습득 한다.
소지Ⅱ (Ceramic Body Ⅱ) 도자기 제조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과 공정에 대한 지식 습득 및 특수 성형 기법, 도자기 제조를 위한 원료의 분쇄, 건조, 시유 및 소성에 대한 이론 가소성 및 비가소성 소지의 슬립캐스팅, 판성형 등의 이론 및 실습한다.
소지개발 (Development of Ceramic Body) 기존의 도자기 소지가 갖는 특성에 변화를 주어 색다른 소지를 개발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특수 소지 즉, 고강도 소지, 무균열소지 다완소지, 조합토, 경량소지, 색소지등 특수한 용도의 도자기 소지의 조합 이론 및 실습한다.
소지세미나 (Seminar of Ceramic Body) 소지에 관한 논문 또는 문헌을 통해 유약을 연구하고 그것에 대해 발표, 토의함으로 학위 논문에 필요한 발표력, 전개방식등을 지도한다.

3. 차문화전공

교과목 설명
다완
(Tea Ball)
다완의 종류 및 역사를 살펴보고 그 제조기법에 대하여 지도한다.
차도구 미학 (Tea Aesthetics) 한국, 중국, 일본, 서양 등 차에 대한 역사와 다도의 이론을 학습하고, 차에 관련된 다양한 차도구 연구와 제작등 실습을 통하여 도자미학의 아름다움을 학습한다.

4. 공통

교과목 설명
색채심리 분석론
(Color Psychology analytics)
일상생활과 예술작업에서 늘 친밀하게 접하는 것이 빛과 물감의 색에 대한 것이다. 도자예술 작업에 적용하기 위하여 색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과정을 색채심리분석론에서 배우게 된다. 휴면컬러이론과 실제, 색채심리이론 컬러코칭등 컬러에 대한 인간심리에 대한 분석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다양한 학습방법을 통하여 익힌다.
예술과 심리
(Art and Psychology)
심리학적 지식을 배경으로 다양한 예술세계에 대한 지식을 넓히고 학습하는데 초점을 둔다. 예술과 심리에서는 도자기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영화치료의 이론과 실제,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음악치료의 이론과 실제, 문학치료의 이론과 실등 다양한 예술분야에서 심리치료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심리학의 이론과 심리학의 예술과의 접목에 대한 응용과 실제를 배운다.
도자 예술론
(The Theory of Ceramic Art)
중국, 일본, 유럽등 도자기의 역사와 발전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현대 도자예술 산업에 대한 흐름을 이해하고 미래 도자예술산업에 대응하는 지식을 기르는데 초점을 둔다. 중국도자산업, 일본도자산업, 서양도자산업으로 나누어 각 나라별 도자기의 디자인과 기법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도자 심리상담 연구
(A study of Ceramic Counseling Psychology)
도자예술을 통하여 내담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고 도자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내담자의 심리를 치유하는 방법을 다룬다.
도자사 Ⅰ
(History of Korean Ceramics Ⅰ)
인류문명의 생성으로부터 시작하여 발생하는 토기와 도기 현대의 옹기에 대한 이론을 연구한다.
도자사 Ⅱ
(History of Korean Ceramics Ⅱ)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시기별 청자와 백자, 분청사기에 대한 다양하게 역사를 고찰하며 연구한다.
가마와 연소
(Furnace & Firing)
가마(전통장작가마, 소금가마, 단가마, 옹기가마, 락쿠가마, 전기가마, 가스가마)의 구조를 이해하고 소성하는방법을 익히고 가마를 직접 제작해 본다.
도자기 공정
(Ceramic Process)
성형공정, 건조공정, 소성(산화, 환원, 냉각)공정을 다룬다.
도자기 재료학
(Ceramic Raw Materials)
도자기 제조에 사용되는 각종 원료의 성질, 원료의 처리법 및 안료에 사용되는 원료의 성질을 다룬다.
분석기기
(Analytical Instruments)
세라믹, 특히 도자기에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분석기기의 원리, 구조, 특성 및 해석법등을 다룬다.
도자기 장식
(Ceramic Decoration)
도자기의 다양한 장식기법을 이해하고 핸드페인팅, 음각법, 양각법, 채색유 사용법, 화장토사용법, 소지와 소지의 접합성을 다룬다.
도자기 디자인
(Ceramic Design)
생활자기의 기형, 문양, 색상을 다룬다.
도자기 디스플레이
(Ceramic Display)
디스플레이 공간 연출과 설치미술의 기본 개념과 비쥬얼 머천다이징에 관한 이론을 습득한다. 본 과목을 통해 효과적이고 미적인 상업환경과 디스플레이를 위한 체계적인 디자인 과정을 지도한다.
상업공간디자인
(Commercial Space Design)
전반적인 공간디자인에 대한 감각과 경향을 익히게 함으로서 공간 연출의 이미지 표현방법을 체계화 할 수 있게 하고 이를 실무에 적용함이 목표이다.
도자기 마케팅
(Ceramic Marketing)
한국 도자기의 역사와 현실을 파악하고 현시대에 부응하는 도자기 공장 및 공방도자의 생산 상품과 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소비자의 구매활동의 전반적인 과정 및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고객에서 만족을 주고 기업(공방)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실무생산에서 경영활동의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도자조형연구
(Formative Ceramic Art)
공학적인 도자재료와 흙으로 미학적 도자 표현기법을 융합시켜 생활공간에 유용한 다양한 조형물을 창작 한다.
물레성형
(Wheel Throwing)
예술작품의 기초 성형이 되는 기법으로 달항리와 같은 한국의 고유의 선을 익힘으로서 창작 작품제작에 응용 할 수 있도록 한다.
테이블데코
(Table Deco)
테이블 데커레이션에서 시각적 측면이 강조되면서 색채 연출이 중요 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기호나 문자에서부터 복잡한 자연, 인물 그림 도자기에 하회안료 또는 상회안료를 사용하여 직접 페인팅하는 기술을 익힌다. 또한, 식탁, 식기, 화예 디자인의 오브제적 요소와 특별한 공간 연출이라는 시각의 오브 제의 개념을 예술 공간이라는 두 영역의 경계를 배울 수 있도록 한다.
세라믹 워크샵
(Ceramic Workshop)
국내작가 및 외국작가들과 교류를 통하여 작업을 공유하고 문화교류의 일환으로 국내 및 국제전시를 작가들에게 배울 수 있도록 한다.
연구지도
(Master's Thesis Research)
학위 논문을 쓰는데 있어서 필요한 논문 지도 및 전개 방식을 지도한 후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에 대한 기존 연구자의 연구 결과 및 고찰 등에 관하여 발표 토록 한다.

교수진

황동하 주임교수

명지대 도자기기술학과 석사
명지대 신소재공학과 박사
도자기유약 자문
경기도 도자기기술개발사업 연구책임
대한민국 최초의 목엽천목 도예가
지역공동체발전을 위한 도자기 기술전수
다수의 국가예술대전 수상경력

프로필보기

이정민 객원교수

    메타버스 플랫폼 개론 / 전략론 강의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석사(MBA)
    민자연사연구소 큐레이터 & 연구원
    플러그크리에이티브 대표
    전) 한국hp IT컨설턴트

    프로필보기

    유용철 객원교수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도자기기술학과 석사
    이천시 도자기명장
    이천도자기 조합이사 역임
    이천도자기축제 실무위원
    한국건축도자 협동조합이사
    (사)한국전통가마보존협회 이사장
    녹원요(Nokwon Ceramic) 대표

    프로필보기

    이재연 객원교수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세라믹아트공학과 석사
    재연도예 대표
    한국재료학회회원
    (사)한국여류도예가협회 회원

    프로필보기

    이철중 객원교수

    한양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 졸업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도자기기술학과 석사
    명지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박사수료
    전)소현세라 대표
    명지대학교 한국도자기연구센터 실장 역임
    바이오세라 (주) 연구실장 역임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기재료분석실

    최현심 강사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도자전문교육 특강강사
    경기도 과학기술과 도자기 첨단소재 개발사업 연구원
    (사)한국여류도예가협회 작가
    아동도예교육 연구소 회장
    흙그릇 작업실 <담쟁이> 대표
    

    홈페이지